본문 바로가기

General

[클린 코드] 11장 시스템

Complexity kills.
Complexity sucks the life out of users, developers and IT.
Complexity makes products difficult to plan, build, test and use.
Complexity introduces security challenges. Complexity causes administrator frustration.

- Ray Ozzie, 마이크로소프트 CTO

 

도시를 세운다면?

소프트웨어 팀을 구성하는 것은 도시를 구성하는 것과 비슷하다.

도시는 수도관리팀, 전력관리팀, 교통관리팀, 치안관리팀, 건축물관리팀 등 각 분야를 담당하는 팀이 있어 잘 돌아간다. 도시에는 큰 그림을 그리는 사람들도 있고, 작은 사항에 집중하는 사람들도 있다. 큰 그림을 이해하지 못할지라도, 적절한 추상화와 모듈화 덕분에 개인과 개인이 관리하는 '구성요소'는 효율적으로 돌아간다.

이 장에서는 높은 추상화 수준, 즉 시스템(system) 수준에서도 깨끗함을 유지하는 방법을 살펴본다. 깨끗한 코드를 구현하면, 낮은 추상화 수준에서도 관심사를 분리하기 쉬워진다.

 

시스템 생성과 시스템 사용을 분리하라

생성(construction)과 사용(use)은 아주 다르다. 소프트웨어 시스템은 애플리케이션 객체를 제작하고 의존성을 서로 '연결'하는 준비과정과 이후에 이어지는 런타임 로직을 분리해야 한다.

시스템 생성과 시스템 사용을 분리하는 몇 가지 방법이 있다.

Main 분리하기

생성과 관련된 모든 코드를 main이나 main이 호출하는 모듈로 옮긴다. 나머지 시스템은 모든 객체가 생성되었고, 모든 의존성은 연결되었다고 가정한다. 애플리케이션은 main이나 객체가 생성되는 과정을 전혀 모른다.

추상 팩토리 패턴 사용하기

객체가 생성되는 시점을 애플리케이션이 결정해야할 때, 추상 팩토리 패턴(Abstract Factory Pattern)을 사용할 수 있다. 인스턴스를 생성하는 시점은 애플리케이션이 결정하지만, 인스턴스를 생성하는 코드는 애플리케이션을 모른다.

의존성 주입하기

의존성 주입(Dependency Injection)은 제어의 역전(Inversion of Control, IoC) 기법을 의존성 관리에 적용한 메커니즘이다. 제어의 역전에서는 한 객체가 맡은 보조 책임을 새로운 객체에게 전적으로 떠넘긴다. 새로운 객체는 넘겨받은 책임만 맡으므로 단일 책임 원칙을 지키게 된다. 의존성 관리 맥락에서 객체는 의존성 자체를 인스턴스로 만드는 책임을 지지 않는 대신에, 이런 책임을 다른 '전담' 메커니즘에 넘겨야만 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제어를 역전한다. 

 

확장

도시의 성장과 확장에는 고통이 따른다.

'처음부터 올바르게' 시스템을 만들 수 있다는 믿음은 미신이다. 꽉 막힌 도로에서 '왜 처음부터 넓게 만들지 않았지?' 싶더라도, 성장할지 모른다는 기대로 자그마한 마을에 6차선 도로를 뚫는 비용을 정당화하기는 어려웠을 것이다.

오늘 주어진 유저 스토리에 맞춰 시스템을 구현해야 한다. 내일은 새로운 유저 스토리에 맞춰 시스템을 조정하고 확장하면 된다. TDD와 리팩터링으로 얻을 수 있는 클린 코드는 시스템을 조정하고 확장하기 쉽게 만든다.

횡단(cross-sutting) 관심사

관점 지향 프로그래밍(Aspect-Oriented Programming, AOP)은 횡단 관심사에 대처해 모듈성을 확보하는 일반적인 방법론이다. 여기서 관점(aspect)라는 모듈 구성 개념은 '특정 관심사를 지원하려면 시스템에서 특정 지점들이 동작하는 방식을 일관성 있게 바꿔야 한다.'라고 명시한다. Java에서 사용하는 관점 혹은 관점과 유사한 메커니즘에는 자바 프록시, 순수 자바 AOP 프레임워크, AspectJ 언어 등에서 찾아볼 수 있다.

테스트 주도 시스템 아키텍처 구축

소프트웨어는 나름대로 형체가 있지만, 소프트웨어 구조가 관점을 효과적으로 분리한다면, 극적인 변화도 경제적으로 가능하다. 즉, 단순한 아키텍처로 결과물을 재빨리 출시한 후, 기반 구조를 추가하며 조금씩 확장해나가도 괜찮다는 말이다. 설계가 최대한 분리되어 각 추상화 수준과 범위에서 코드가 적당히 단순하다면, BDUF(Big Design Up Front, 구현을 시작하기 전에 앞으로 벌어질 모든 사항을 설계하는 기법)를 추구할 필요가 없다. 

설계가 아주 멋진 API조차도 정말 필요하지 않으면 과유불급이다. 좋은 API는 걸리적거리지 않아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아키텍처에 발이 묶여 고객에게 최적의 가치를 효율적으로 제공하지 못한다.

 

시스템 역시 클린해야 한다. 클린하지 못한 아키텍처는 도메인 논리를 흐리며 기민성을 떨어뜨린다. 시스템을 설계하든 개별 모듈을 설계하든, 실제로 돌아가는 가장 단순한 수단을 사용해야 한다는 사실을 명심하자.

 

출처: 도서 클린코드 애자일 소프트웨어 장인 정신, 로버트 C.마틴 지음 | 박재호, 이해영

'General'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클린 코드] 12장 창발성  (0) 2023.06.18
[클린 코드] 10장 클래스  (0) 2023.06.04
[클린 코드] 9장 단위 테스트  (0) 2023.05.28
[클린 코드] 8장 경계  (0) 2023.05.28
[클린 코드] 7장 오류 처리  (0) 2023.05.25